List 배열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다면 다음 챕터로 넘어가도 좋다.
그래서 못넘어가나보다
그만 알아보고 시작하자.
List의 기초부터 들어간다 입 벌려라
1. 리스트 출력
list = [1, 2, 3, 4, 5]
print(list)
이게 뭔가 고민해봐라 글만 읽어선 될 일이 아니다.
list변수에 1, 2, 3, 4, 5, 가 담긴 배열을 만들었다.
그리고 print로 출력했다.
출력은 [1, 2, 3, 4, 5]로 나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list변수에 어떤 자료형의 어떤 값이 들어있느냐이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값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제부터 잘 따라 오니라~~
2. 리스트 출력 2
List1 = [1, 2, 3, 4]
List2 = ['Errormin', 'Dev', 'Ops', 'Cloud']
List3 = [4, 5, ['Azure', 'AWS']]
print(List1[-1])
print(List2[0])
print(List3[0:][1])
위 코드를 보면 난독증 올 수도 있다. 하지만 한 줄씩 천천히 읽어보고 어떤 자료형인지 배열에 얼마나 담겼는지
유심히 보다 보면 자신이 뿌듯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럼 이해한 것이다.
print문에 있는 List [-1] 이 있을 때 -1은 어떤 값이 나올까 눈으로 어떤 출력이 나오는지 한 번에 알 때쯤 배열을 이해한 것이다.
3. 리스트 값 수정
List4 = [1, 2, 3, 4, 5]
List4[2] = 8
print(List4)
List4의 2번 index는 3이다.
그리고 List4의 2번 index에 8을 대입했다.
그럼 출력은 [1, 2, 8, 4, 5]이다.
리스트 하는 거 엄청 많다. 천천히 계속 늘려갈 것이다. 이 페이지에.
'언어 > Python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문법 print(sep=" ", end=" ") (0) | 2022.08.02 |
---|---|
[Python 기초] while문 가지고 놀기 (0) | 2022.07.12 |
[Python 기초] 딕셔너리 (0) | 2022.07.11 |
[Python 기초] 제어문 if elif else문 (0) | 2022.07.06 |
[Python 기초] 출력, 입출력, 문자열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