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Python문법

[Python 기초] 출력, 입출력, 문자열

by ErrorMin 2022. 7. 6.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입력이 있을때 출력이 있다.

원하는 값을 입력해서 원하는 값을 출력해 보도록 하자


input 사용자 입력

사용자가 입력을 할시 input을 사용합니다.

test_input = 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
print(test_input + "\n")
# input은 숫자를 입력해도 문자로 인식합니다.
# 
test_input2 = input()
print(test_input2 + "\n")

input은 입력되는 모든 것을 문자열로 취급한다.

type(test_input)
<class 'str'>

 

큰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은 + 연산과 동일하다

print("===========문자열=========\n")
# 
print("로꾸꺼" "로꾸꺼" "로꾸꺼" "말해말" "아~많다많다많다많아 \n")
# 
print("로꾸꺼"+"로꾸꺼"+"로꾸꺼"+"말해말"+"아~많다많다많다많아 \n")
# 큰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은 + 연산과 동일하다 결과 값도 같다.

 

문자열 띄어쓰기는 콤마로 한다

print("로꾸꺼","로꾸꺼","로꾸꺼","말해말","아~많다많다많다많아 \n")
# 출력문의 띄어 쓰기는 ,(콤마) 를 사용한다.

 


모든코드

print("==========출력문===========\n")
print("Hello Python!! \n")
# 
# 
print("=========입, 출력문========\n")
# 
test_input = 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
print(test_input + "\n")
# input은 숫자를 입력해도 문자로 인식합니다.
# 
test_input2 = input()
print(test_input2 + "\n")
# 
# 
print("===========문자열=========\n")
# 
print("로꾸꺼" "로꾸꺼" "로꾸꺼" "말해말" "아~많다많다많다많아 \n")
# 
print("로꾸꺼"+"로꾸꺼"+"로꾸꺼"+"말해말"+"아~많다많다많다많아 \n")
# 큰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은 + 연산과 동일하다 결과 값도 같다.
# 
print("로꾸꺼","로꾸꺼","로꾸꺼","말해말","아~많다많다많다많아 \n")
# 출력문의 띄어 쓰기는 ,(콤마) 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