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Route53 이론
키워드
- DNS
-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DNS의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음.
1.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Domain Name Space)
2. 네임 서버 (Name Server) 권한 있는 DNS 서버
3. 리졸버(Resolver) 권한 없는 DNS 서버
-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 트래픽
- 인터넷상에서 송수신 되는 모든 통신의 양,
홈페이지를 열고 닫고, 페이지를 넘기고, 이미지나 동영상을 다운 받을때 모든 파일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트래픽이라고 함.
- 인터넷상에서 송수신 되는 모든 통신의 양,
Route 53
Route53은 AWS에서 제공하는 DNS
다른 도메인 등록기관(가비아, 후이즈)등에 비해 가격이 비슷하거나 저렴함.
등록 외에 부가적인 기능 제공 및 안정성, GUI를 제공해 관리가 수월함.
Route53은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남.
도메인 구입부터 Name Server등록까지 DNS에 필요한 모든 기능이 있으며 AWS 답게 모니터링 기능까지 제공함.
또한 Route53은 사용자의 요청을 Amazon EC2 인스턴스, Elastic Load Balancing로드 밸런서, Amazon S3 버킷등 AWS에서 실행되는 인프라에 효과적으로 연결하고 AWS 외부의 인프라로 라우팅하는데도 Route53 사용이 가능함.
Route53은 Public host zone과 Private host zone이 존재함.
Public host zone은 일반 DNS와 같이 동작함.
Privite host zone은 AWS 내부에서만 동작함.
Route 53기능 및 장점
기능
1. 모니터링 - 특정 포트에 대해 모니터링 가능
2. L4
3.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 지역에 상관없이 부하 분산 및 속도 개선 가능.
장점
1.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는 Cloud 기반 DNS 웹서비스
2. 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될 DNS 레코드 타입과 값 조정
3. 각종 다양한 로드밸런싱 기능 지원
4. 사용자의 요청을 EC2, ELB, S3 버킷등 인프라로 직접 연결 가능
5. 외부의 인프라로 라우팅하는데 사용 가능
6. Route53 트래픽 흐름을 사용하면 지연시간기반 라우팅 가능.
7. Route53에서 도메인 이름 등록 지원 가능.
Route53 도메인 구입 방법
도메인 이름 선택 페이지에서 입력창에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하면 사용 가능한 도메인 항목들이 나온다.
com, net, org 와 같은 최상위 도메인은 흔한 이름과 조합 시 웬만해서는 사용할 수 없다고 나오고,
그 밑으로 aws 가 사용 가능한 도메인을 추천해준다.
등록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곳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메일이다
Route53에서 도메인 등록을 완료한뒤 완료가 되었으니 확인하라는 이메일을 수신할 이메일이 도착할 곳을 설정해준다
도메인 등록 설정을 완료하면 며칠 이내에 등록한 이메일로 메일이 도착하는데 해당 메일을 확인하지 않으면 등록자가 유효하지 않은 도메인으로 인지하여 우리가 등록한 도메인을 중지(suspend) 시켜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