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Docker Docs를 참고하며 진행하려고 한다.
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l/centos/
Install Docker Engine on CentOS
docs.docker.com
설치는 Docker Docs를 참고하여 설치하면 금방 할 수 있지만. 공식문서에 아직 적응하지 못하는 분들이 있을까
공부하는 겸 올려보려고 한다. 그러므로 위의 링크와 내용은 같다.
저장소를 사용하여 설치하세요
새 호스트 시스템에 처음으로 Docker Engine을 설치하기 전에 Docker 저장소를 설정해야 한다.
그런 다음 저장소에서 Docker를 설치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고 한다.
※ 공식문서 Docker Docs에는 sudo를 활용해서 설치를 진행하지만 나는 root계정에서 작업 할것이다.
아래 코드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된다.
yum install -y yum-utils
--------------------------
<레파지토리url 등록>
yum-config-manager \
--add-repo \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위의 코드로 레파지토리 등록을 했으니 이제 설치를 진행하면 된다.
이번에는 INSTALL DOCKER ENGINE (도커 엔진 설치)를 진행할 것이다.
아래의 코드처럼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총 3개를 한 번에 설치한다.
yum install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y
설치 진행이 끝나면 CentOS의 경우에는 서비스 데몬을 start 해줘야 한다.
<도커 부팅시 실행!>
systemctl enable docker.service
<도터 start!>
systemctl start docker
<설치 완료후 version확인>
docker version
<설정확인>
systemctl status docker
여기까지 왔다면 마지막으로 Docker에게 권한을 줄 것이다.
<Docker 권한>
usermod -a -G docker sm
<root계정에서 user로 이동>
su - sm
<Docker에 연결되었는지 확인>
docker ps
usermod -a -G docker sm
usermod -(어팬드) -(애디셔널 그룹)을 docker(에 할당하겠다) user에게 라는 뜻이다.
주의) sm은 저의 user name입니다.
su - sm 명령어를 작성하면 user계정으로 접속합니다.
user계정으로 접속 후
docker ps를 하게 되면
sm user는 docker 그룹의 멤버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sm user도 docker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Cloud인프라 > docker(도커)'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Docker(도커) 기본 명령어 (0) | 2022.02.17 |
---|---|
02 Docker(도커) 이론 (0) | 2022.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