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터미널에서 고정IP 설정하기
ip a
2. 고정 IP 설정하기
[root@localhost ~]#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ls
[root@localhost network-scripts]# vi ifcfg-eth0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dhcp"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th0"
UUID="fe73fabe-bdf2-4bcb-a671-3ff5b65eed8a"
DEVICE="eth0"
ONBOOT="yes"
기본으로 설정된 내용을 확인하면 IP가 자동으로 세팅(BOOTPROTO=dhcp) 되는 설정이 확인됩니다.
고정 설정으로 변경하고 몇 가지 추가적인 설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설정
|
값
|
추가/수정 여부
|
상세
|
BOOTPROTO
|
none
|
수정
|
dhcp 면 ip 자동할당이기 때문에 static으로 변경하여 고정 IP로 사용합니다.
|
IPADDR
|
172.31.158.183
|
추가
|
고정으로 설정한 후 부여받은 IP를 지정합니다.
|
PREFIX
|
24
|
추가
|
넷 마스크 255.255.255.0의 나타내는 PREFIX 24를 설정. 환경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 환경에 맞게 설정해야 합니다.
|
GATEWAY
|
172.31.158.1
|
추가
|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역할 하는 특정 장비(공유기 등)의 IP를 의미합니다. 환경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 환경에 맞게 설정해야 합니다.
|
DNS1
|
168.126.63.1
|
추가
|
각자 원하는 DNS를 설정하면 됩니다.
|
DNS2
|
168.126.63.2
|
추가
|
각자 원하는 DNS를 설정하면 됩니다.
|
ONBOOT
|
yes
|
수정
|
no 설정되어져 있을 경우 yes로 변경해야 합니다. no 이면 부팅 시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습니다.
|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th0"
UUID="fe73fabe-bdf2-4bcb-a671-3ff5b65eed8a"
DEVICE="eth0"
#=== 추가 및 수정된 부분 ===
ONBOOT="yes"
BOOTPROTO="none"
IPADDR=172.**.***.***
PREFIX=24
GATEWAY=172.**.***.*
DNS1=8.8.8.8
DNS2=168.126.63.2
: wq
[root@localhost ~]# systemctl restart network
[root@localhost ~]# ping 8.8.8.8
고정IP 완료
'Cloud인프라 > Centos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Logical Volume [정리중] (0) | 2022.03.16 |
---|---|
04 Centos WAS tomcat 및 mod_jk 구현 + java jdk 환경변수 (0) | 2022.03.01 |
03 Centos7 WEB 구축 (0) | 2022.02.28 |
02 Windows11 Centos 7 설치 및 네트워크 설정 (0) | 2022.02.15 |